본문 바로가기

업무/법규

건설공사 안전관리 업무수행 지침 일부 개정

건설공사 안전관리 업무수행 지침일부개정고시
 
1. 개정이유
사고발생 시 응급조치 기간 등을 고려했을 때 건설사고 발생을 알게 2시간 이내 신고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으로써, 사고 초기에 응급조치 등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, 중대한 건설사고에 대해서는 초기조사 등 대응을 강화하려는 것임
 
또한, 공공 건설공사 참여자의 안전수준 향상 및 건설사고 사망자 감소를 위해 안전관리 수준평가 시기 및 안전관리수준 확인 방법을 변경하여 평가의 공정성, 실효성을 확보하고자 하려는 것임
 
2. 주요내용
. 사고신고기준 완화(60조제1항 및 제61조제1항 개정)
. 모든 중대한 건설사고에 대해 초기현장조사 실시(61조제2항 개정)
. 안전관리 수준평가 평가시기 조정(65조제1, 66조제2항 개정)
. 컨설팅 및 우수기관 포상 관련 조문 신설(72, 722)
. 평가항목이 유사하거나 중복된 항목 간소화(별표 914, 16)
. 기타 건설기술진흥법령 개정사항 반영(3, 46, 53, 별표 7 )
신ㆍ구조문대비표
현 행 개 정 안




제2조(정의) 이 지침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. 제2조(정의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.
1. ∼ 30. (생 략) 1. ∼ 30. (현행과 같음)
31. “건설안전정보시스템이란 법 제62조제14, 영 제101조의3에 따른 건설공사 참여자의 안전관리 수준의 평가 업무 및 건설안전 업무를 위하여 공단이 구축ㆍ운영하는 전산시스템(www.cosmis.or.kr)을 말한다. <삭 제>












32. ∼ 42. (생 략) 32. ∼ 42. (현행과 같음)
제3조(적용범위) 이 지침은 법 제62조제1항에 따라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는 건설공사, 제14항에 따라 건설공사 참여자의 안전관리 수준평가 하는 건설공사 및 법 제67조제1항에 따라 건설사고 사실을 통보하여야 하는 건설공사에 적용한다. <후단 신설 >








제3조(적용범위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. 다만, 3장제3절 건설공사 안전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에 관한 사항은 법 제63조 제1항에 따라 발주자가 건설사업자 또는 주택건설등록업자와 건설공사 계약을 하는 모든 건설공사에 적용한다.
제46조(안전관리계획의 작성 및 검토 비용) ① 규칙 제60조제1항제1호에 따른 안전관리계획의 작성 및 검토 비용 계상은 별표 7의 내역에 대해 「엔지니어링사업 진흥법」 제31조제2항에 따른 「엔지니어링사업대가의 기준」제3조제1호의 실비정액가산방식을 적용하며 직접인건비, 직접경비, 제경비 및 기술료로 구성된다. 제46조(안전관리계획의 작성 및 검토 비용) ① -----------------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비용과 소규모안전관리계획의 작성 비용 계상---------------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.
② (생 략) ② (현행과 같음)
제53조(정산) 건설사업자 또는 주택건설등록업자는 안전관리비를 해당 목적에만 사용하여야 하며, 실제로 납부, 지출, 부담한 객관적인 서류를 근거로 정산하도록 한다 제53조(정산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비용정산--------.
제60조(최초사고신고) 건설공사 참여자는 건설사고가 발생한 것을 알게 된 즉시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2시간 이내에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발주청 및 인·허가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. 다만, 천재지변 등 부득이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사유가 소멸된 때를 기준으로 지체 없이 보고하여야 한다. 제60조(최초사고신고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사고발생 인지 후 6시간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.
1. ∼ 5. (생 략) 1. ∼ 5. (현행과 같음)
제61조(사고조사 등) ① 건설공사 참여자로부터 법 제67조제1항에 따라 건설사고 발생을 통보받은 발주청 및 인·허가기관의 장은 24시간 이내에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국토교통부장관에 제출하여야 하며, 그 결과를 보관·관리하여야 한다. 제61조(사고조사 등) ①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48시간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.
1. ∼ 5. (생 략) 1. ∼ 5. (현행과 같음)
② 국토교통부장관은 중대건설현장사고가 발생하여 법 제67조제3항에 따라 사고 경위 및 사고 원인 등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「건설사고조사위원회 운영규정」 (이하 “운영규정”이라 한다) 제2조제4항 및 「건설기술진흥법령에 따른 위탁업무 수행기관 등 지정」에 따른 관리원으로 하여금 운영규정 제18조제2항제3호에 따른 초기현장조사를 실시하게 할 수 있다. ②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법 제67조제3항에 따른 중대건설현장사고가 발생한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해야 한다.
③ ∼ ⑥ (생 략) ③ ∼ ⑥ (현행과 같음)
제65조(평가대상 등) ① 건설공사 참여자의 안전관리 수준 평가는 평가기관이 총공사비(전기·소방·통신 공사비는 제외하되, 관급자재비를 포함한 공사예정금액을 말한다)가 200억원 이상인 건설공사(다만, 「국유재산법」제2조제2호에 따른 기부채납 건설공사는 제외한다)에 참여하는 다음 각 호의 건설공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다. 제65조(평가대상 등) ①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도급자 관급자재비를 포함하되, 전기·소방·통신 공사비 및 토지 등의 취득·사용에 따른 보상비는 제외한 금액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.
1. 공기가 50% 이상의 건설공사 현장을 보유한 발주청 1. ---- 20%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2. ∼ 3. (생 략) 2. ∼ 3. (현행과 같음)
②ㆍ③ (생 략) ②ㆍ③ (현행과 같음)
제66조(평가시기) ① 발주청에 대한 안전관리 수준 평가시기는 발주청과 협의하여 결정하며, 횟수는 회계연도 별로 1회로 한다. 제66조(평가시기) ①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공기가 20% 진행되었을 때로 하며-----------------------.
② 건설사업관리용역사업자 및 시공자의 안전관리 수준 평가시기 및 횟수는 다음 각 호와 같다. ②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.
1. 현장평가는 공기가 50% 진행되었을 때부터 1회 실시한다. 1. ------------- 20% ---------------------------.
2. (생 략) 2. (현행과 같음)
3. 1호에도 불구하고 국토교통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공기가 50%에 이르지 않아도 안전관리 수준 평가를 실시 할 수 있다. 이 경우 결과를 최종 안전관리 수준 평가결과에 최대 50%까지 반영할 수 있다. <삭 제>
제67조(평가준비) ① 평가기관은「건설산업기본법」제24조제3항에 따른 건설산업종합정보망에 등록된 공사정보를 확인하여 당해 연도 안전관리 수준 평가대상을 국토교통부장관에게 통보하여야 한다. <후단 신설> 제67조(평가준비) ①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확인하고, 필요한 경우 발주청에 공사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. 이 경우 공사정보의 입력을 요청받은 발주청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따라야 한다.
국토교통부장관은 제1항에 따라 통보받은 안전관리 수준 평가대상을 참고하여 제65조에 따라 평가대상을 선정하고, 그 선정사실을 해당 건설공사 참여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. 평가기관은 제1항에 따라 공사정보를 확인하여 당해 연도 안전관리 수준평가 대상을 국토교통부장관에게 통보하여야 한다.
<신 설> 국토교통부장관은 평가기관으로부터 통보받은 공사정보를 참고하여 제65조 및 제66조에 따라 평가대상을 선정하고, 그 사실을 해당 건설공사 참여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.
2 안전관리 수준 평가 제2절 평가 실시
제70조(평가결과의 통보 및 이의제기 등) ① 평가기관이 안전관리 수준 평가를 완료한 때에는 별표 10, 별표 12 및 별표 14에 따라 작성된 평가결과를 해당 건설공사 참여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. 제70조(평가결과의 통보 및 이의제기 등) ①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69조제1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.
② (생 략) ② (현행과 같음)
③ 건설공사 참여자가 제2항에 따른 이의신청을 할 경우에는 안전관리 수준 평가표의 세부항목별로 이의제기 의견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. ③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작성하여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을 통해 이를 ---.
④ (생 략) ④ (현행과 같음)
<신 설> 평가기관은 제4항에 따른 재평가를 위해 별도의 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다.
제71조(평가결과의 통보 및 공개) ① (생 략) 제71조(평가결과의 통보 및 공개) ① (현행과 같음)
② 국토교통부장관은 안전관리 수준 평가결과를 건설안전정보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공개할 수 있다. ②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등---------------.
③ (생 략) ③ (현행과 같음)
4 우수건설안전관리 참여자 선정 제4절 건설안전관리 참여자 컨설팅 및 우수참여자 선정
<신 설> 72(건설안전관리 참여자 컨설팅) 평가기관에서는 건설공사 참여자에게 안전관리 수준 평가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컨설팅을 할 수 있다.
72(우수건설안전관리 참여자 선정) ① 제71조제1항에 따라 안전관리 수준 평가결과를 통보받은 국토교통부장관은 우수건설안전관리 참여자를 별표 16에 따른 공사구분별로 선정할 수 있다. 72조의2(우수건설안전관리 참여자 선정 및 공개) ①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따라 -----------------------.
② (생 략) ② (현행과 같음)
<신 설> 국토교통부장관은 건설공사 참여자의 안전관리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제1항에 따라 선정된 우수건설안전관리 참여자에게 포상 등을 수여할 수 있다.
[별표 7] 안전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[별표 7] 안전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
 
 
부 칙 부 칙
이 고시는 2021919일부터 시행한다. 이 고시는 발령한 날부터 시행한다.




[별표 7] 안전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개정전

항 목 내역
4. 공사장 주변의 통행안전 및 교통소통을 위한 안전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 . 공사시행 중의 통행안전 및 교통소통을 위한 안전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
1) PE드럼, PE휀스, PE방호벽, 방호울타리 등
2) 경관등, 차선규제봉, 시선유도봉, 표지병, 점멸등, 차량 유도등 등
3) 주의 표지판, 규제 표지판, 지시 표지판, 휴대용 표지판 등
4) 라바콘, 차선분리대 등
5) 기타 발주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안전시설
6) 현장에서 사토장까지의 교통안전, 주변시설 안전대책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
7) 기타 발주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안전시설
공사기간 중 공사장 외부에 임시적으로 설치하는 안전시설만 인정된다.
. 안전관리계획에 따라 공사장 내부의 주요 지점별 건설기계ㆍ장비의 전담유도원 배치 비용
. 기타 발주자가 안전관리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비용
[별표 7] 안전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 개정후
항 목 내역
4. 공사장 주변의 통행안전 및 교통소통을 위한 안전시설의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, 신호수 배치비용 가. 공사시행 중의 통행안전 및 교통소통을 위한 안전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, 신호수 배치 비용
1) PE드럼, PE휀스, PE방호벽, 방호울타리 등
2) 경관등, 차선규제봉, 시선유도봉, 표지병, 점멸등, 차량 유도등 등
3) 주의 표지판, 규제 표지판, 지시 표지판, 휴대용 표지판 등
4) 라바콘, 차선분리대 등
5) 현장에서 사토장까지의 교통안전, 주변시설 안전대책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
6) 기타 발주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안전시설
7) 통행안전 및 교통소통을 위한 신호수 등 배치 비용
※ 공사기간 중 공사장 외부에 임시적으로 설치하는 안전시설만 인정된다.
나. 안전관리계획에 따라 공사장 내부의 주요 지점별 건설기계ㆍ장비의 전담유도원 배치 비용
다. 기타 발주자가 안전관리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비용

출처 : 국토교통부

 

 

 

 

트로트샛별 정서주

🥇정서주 공식팬카폐🥇 https://cafe.daum.net/loveseojoo (오피셜 팬카페) ✨행사, 섭외문의✨ info.seojoo@warnermusic.com 🔸워너뮤직코리아 소속🔸 https://www.warnermusic.co.kr

www.youtube.com

 

 

Jung Seo Joo - For My Blossoms

Listen to For My Blossoms by Jung Seo Joo.

WMK.lnk.to